• 리치몬트코리아가 2023 회계연도 매출과 영업이익을 공개하였습니다.
• LVMH 아르노 회장이 지난 화요일 중국에 도착해 베이징 시내 백화점들의 LVMH 브랜드 매장을 방문하였습니다.
• 끌로에가 디자인 스튜디오에 생로랑 여성복 RTW 디자인 디렉터였던 Chemena Kamali를 영입하였습니다. 현 CD인 가브리엘라 허스트는 9월 패션쇼를 마지막으로 끌로에를 떠날 예정입니다.
<<국내 뉴스>>
1. 리치몬트코리아 2023 회계연도 매출 +18%
• 리치몬트코리아(리치몬트그룹 한국법인) 2023 회계연도(3월 마감) 매출 1조3979억원, +18%; 영업이익 1250억원, +28%; 당기순이익 중 496억원 리치몬트인터내셔널홀딩S.A.에 지급, 기부금은 감소
• 코로나 특수와 함께, 제품의 가격 인상이 실적 호조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; 까르띠에(4월) 제품가 최대 +15%, 반클리프 아펠(5월) +5~10%, 바쉐론 콘스탄틴(이달) +8~9%
2. 더현대서울에 빼앗긴 ‘면적 1위’ 되찾는다...덩치 키우는 강남 신세계
•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이 센트럴시티 신세계 시내면세점 공간을 백화점으로 통합 운영하는 안을 확정, 이르면 내달 공사 시작; 식품관과 브랜드 입점 공간으로 새 단장할 계획
• 시내면세점은 팬데믹으로 2021년 폐점한 이후 2년 가까이 방치; 공간 통합 이후 면적은 9만㎡대로, 더현대서울(8만9100㎡)에 내준 ‘서울 최대 규모 백화점’ 타이틀을 되찾는다는 목표
• 백화점 실적 악화도 이번 확장에 영향; 신세계 강남점 지난해 매출은 2조8000억원 이상 추정, 그러나 올해 명품 매출 성장률 3%에 그치는 등 전년대비 성장률 둔화
3. 면세점 1위 롯데 '추격' 나선 신라·신세계…22년 터줏대감 어쩌나
• 신규 사업자로 선정된 신라면세점과 신세계면세점 등이 오는 7월 1일 출국장 면세점 개장, 최대 10년간 인천공항 출국장 면세점을 운영할 예정
• 롯데면세점은 이번 입찰에서 탈락, 22년만에 인천공항 출국장에서 철수; 인천공항 면세점은 매출 뿐 아니라 상징적 의미(인지도 등)도 큰 가운데, 장기적인 경쟁력 약화 우려
• 이에 따라 면세업계 순위 변동 가능성에 관심 집중; 지난해 기준 매출 1위는 롯데면세점(5조3469억원), 다음은 신라면세점(4조3505억원), 신세계면세점(3조6668억원) 순
• 한편 면세업계(롯데·신라·신세계·현대백화점면세점)는 국내 시내점의 영업시간을 연장; 코로나19로 2020년 초반부터 영업시간을 2시간가량 단축했던 이후로 약 3년5개월만의 정상화
출처: https://bit.ly/44oJYVb , https://bit.ly/3JDHwlx
4. MZ패션 성지 떠오른 성수동…'디스이즈네버댓' 합류 채비
• 스트릿 패션 브랜드 '디스이즈네버댓’이 성수동에 사옥을 건축 중; 최근 성수동은 패션·명품·뷰티·엔터 등 다수 기업의 선호 입지로 언급되는 추세
• ‘아이아이컴바인드’(젠틀몬스터): 신사옥 건축 중; 무신사: 지난해 성수로 본사 이전, 올 하반기 신사옥 입주 계획; 그 외에도 ‘디올 성수’, 클리오∙SM∙큐브엔터테인먼트 본사 등
5. 판 커지는 아웃도어, 지형 변화 시작
• 과거 등산에 국한됐던 아웃도어 시장이 확장되는 중; 지난해 국내 톱10 아웃도어 브랜드들의 매출 규모 4조원 육박; ‘고프코어’ 트렌드로 ‘아크테릭스’, ‘살로몬’ 매출 약 +30%
• 캠핑: 기존 등산과 라이프스타일로 양분화됐던 시장에서 ‘캠핑’이라는 새로운 카테고리 추가; ‘스노우피크’, ‘제로그램’, ‘노르디스크’, ‘시에라디자인’ 등
• 라이프스타일: ‘디스커버리’, ‘내셔널지오그래픽’의 등장으로 형성 (2개 브랜드 지난해 매출 1조원 돌파); 최근에는 ‘컨템포러리’와 ‘트래블’ 키워드로 시장 진입하는 추세
6. 핵심 상권 주간 리포트
• 강남역 - 대형 매장 출점 재개: 삼성전자 새로운 체험형 플래그십스토어 ‘삼성강남’ 오픈 예정; 신한투자증권 팝업스토어 오픈; ‘파이브가이즈’ 국내 첫 매장 오픈; 외국인 관광객 유입으로 실적 회복세
• 신사동 가로수길 - 먹거리 팝업스토어 증가: 유동 인구, 부동산 하락세; 반면 ‘찰스앤키스’, ‘바이레도’ 등 해외 브랜드 진출 지속; ‘티몬XCJ 푸드마켓’ 등 먹거리 팝업스토어 증가
• 압구정 - 유동 인구 소폭 감소: ‘위글위글’ 플래그십스토어 인기; 신사동 가로수길 카페가 압구정동으로 이동, 상권 부상으로 메인거리 임대료 약 10% 인상; CJ제일제당 ‘핸디드레시피 서울’ 오픈 예정
7. 비 뚫고 오전에만 700명 몰렸다…베일 벗은 '파이브가이즈'
• ‘파이브가이즈’ 강남점 1호점 26일 오픈; 첫날 오전에만 700명 이상이 매장을 찾은 것으로 집계, 첫 고객은 전날밤부터 12시간 대기
• 파이브가이즈는 현재 23개 국가에서 1800여 개 매장 운영 중, 아시아에서는 한국이 여섯번째; 한화갤러리아 에프지코리아는 앞으로 5년간 국내에 15개 이상의 매장을 열 계획
• 한편 파이브가이즈 햄버거 2개와 감자튀김(총 4만700원)을 10만원에 되팔겠다는 당근마켓 게시물이 올라옴; 대기가 길어지며 이러한 판매글도 올라온 것으로 보임
출처: https://bit.ly/43Y7fgL , https://bit.ly/4369b5w
8. 3일만에 580억원어치 팔았다... 무신사 여름 세일 흥행 대박
• 올해 무진장 여름 블프는 행사 시작 나흘만에 누적 판매액 580억원을 돌파; 2000여개 브랜드가 참여해 22만 개 상품을 최대 80% 할인하는 상반기 최대 규모 세일 행사
• 행사 전 사전 이벤트 진행 기간 무진장 티징 페이지를 방문한 고객 수는 일평균 27만 명; 올해 처음으로 진행하는 오프라인 팝업 스토어 '무진장 테라스 마켓'에는 나흘 간 총 4000여명 방문
• 한편 무신사는 장마철을 맞아 락피쉬웨더웨어 단독 라이브 방송을 진행; 레인부츠를 찾는 고객이 늘면서 5월 한달 간 무신사 락피쉬웨더웨어 상품 거래액은 지난해 동월 대비 약 5.6배 증가
출처: https://bit.ly/3Px3f2k , https://bit.ly/3pmDuag
9. 럭셔리 브랜드 하반기 가격인상, 지금부터 시작
• 디올: 다음 달 1일부터 최대 15% 가격 인상에 나설 전망; 불가리: 내달 10일부터 주요 제품 가격을 6~7% 인상, 2월 이후 올해 두번째 (‘세르펜티 바이퍼 링’ 299만원(+6.8%) 등)
• 셀린느: 지갑∙신발 등 액세서리 가격을 평균 15% 인상, 올해 3월 이후 약 3개월 만 (‘트리옹프 체인 지갑-샤이니 카프스킨 블랙’ 295만원(+22.9%) 등)
출처: https://bit.ly/46rjiEM , https://bit.ly/46rQMD2
10. F&F '자체 브랜드' 스트레치엔젤스, 김창수 회장 아픈 손가락 되나
• 신사동 가로수길 스트레치엔젤스 첫 플래그십 스토어가 지난해 중반 폐점; F&F는 2018년 2번째 자체 브랜드로 스트레치엔젤스를 론칭, 가로수길 플래그십을 오픈한 바 있음
• 증권가에 따르면 스트레치엔젤스 매출은 팬데믹 이후 약 80% 급감, MLB 등 라이선스 브랜드에 비해 부진; 현재 스트레치엔젤스는 백화점, 아울렛 등 총 4곳에서 매장 운영 중
<<글로벌 뉴스>>
1. 아르노 회장, 화요일 중국 방문
• 지난 화요일 LVMH 그룹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이 중국에 도착해 베이징 시내의 SKP 베이징, 차이나 월드몰, WF 센트럴에 들러 디올, 티파니, 루이비통, 로로피아나, 펜디, 불가리 등 LVMH 브랜드의 매장을 방문; 팬데믹 이후 첫 방문
• 딸인 크리스챤 디올 꾸뛰르 회장 델핀 아르노, 막내아들 장 아르노 및 기타 LVMH 최고 경영진과 동행; 이후 청두와 상하이를 방문할 것으로 예상
• 지난 2월에는 케링 회장인 프랑수아 앙리 피노가 중국의 경제 재개 이후 럭셔리 경영진으로서는 최초로 중국을 방문
2. 끌로에, 생로랑 전 디자인 디렉터 Chemena Kamali 영입
• 끌로에가 디자인 스튜디오에 Chemena Kamali를 영입; 정확한 역할은 알려진 바 없으며, 현 CD 가브리엘라 허스트는 9월 패션쇼를 마지막으로 끌로에를 떠난다는 소식
• Chemena Kamali: 생로랑 현 CD Anthony Vaccarello와 함께 여성복 RTW 디자인 디렉터로 근무했으며, 올해 초 미국 브랜드 Frame에 합류한 바 있음
• 가브리엘라 허스트는 2020년 끌로에 합류; 소식통에 따르면, 그녀의 지휘 하에 로고 토트백 등의 실적은 좋았으나, 기존 사업을 견인하던 고가 가죽 핸드백이 부진했다는 설명
3. 케링, 하이엔드 향수 브랜드 크리드 인수
• 케링 보떼(Kering Beauté)가 하이엔드 니치 향수 브랜드 크리드(Creed)를 인수; 인수 절차는 올해 하반기에 마무리될 예정이며, 거래금액은 약 $1.5 billion(약 1.9조원) 추정
• 케링의 뷰티 사업 강화 전략의 일환으로, 향수 카테고리의 필수 전문인력을 조직 내부에 영입하고, 추후 크리드의 유통망을 다른 산하 브랜드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
• 크리드의 역사는 176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며, 현재 글로벌 하이엔드 향수 시장 내 최대 규모의 독립 기업; 최근 연매출(2023년 3월 마감) €250 million(약 3562억원) 이상 기록
출처: https://bit.ly/3JVWP9B , https://bit.ly/434qRyt , https://bit.ly/3NsqQ1E
4. 루이비통, 틱톡 구독자 1천만명 돌파
• 루이비통의 틱톡 구독자 수가 1천만명을 돌파하며 최다 구독자를 보유한 명품 브랜드에 등극; 2020년 공식 계정 개설 후 누적 약 17억 뷰와 약 6500만개의 좋아요 기록
• 루이비통의 틱톡 콘텐츠는 플랫폼에 맞게 제작되며, 주로 패션쇼, 콜라보레이션, 유명 앰버서더 등의 비하인드 씬을 보여줌; 이번 퍼렐 윌리엄스 컬렉션 쇼 라이브방송 약 1백만명 시청
• 한편 만삭의 리한나와 함께한 루이비통의 새로운 캠페인이 모두 공개됨; 퍼렐 윌리엄스의 컬렉션을 담았으며, 스피디 백의 새로운 버전들을 선보임
출처: https://bit.ly/3NZfrrH , https://bit.ly/3PAysBW
5. 부쉐론, 한국 최초 글로벌 앰버서더로 배우 한소희 발탁
• 프랑스 하이주얼리 브랜드 부쉐론이 한국 최초 글로벌 앰버서더로 한소희 발탁; 이를 통해 한국이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시장임을 강조; 한소희는 7월 파리에서 열리는 부쉐론 프레젠테이션 참석 예정
6. 요즘 미국 젊은 여성들, 핸드백 안 들고 다닌다
• 미국의 18세~34세 젊은 여성 소비자들이 35세 이상 소비자들보다 핸드백을 적게 구매한다는 조사 결과; 18~34세: 4월 판매량 전년대비 -2%, 35세 이상: 판매량 +7%
• 또한 활동 시 핸드백을 들고 다닌다고 답한 비율이 35세 이상 여성의 경우 60% 이상이었지만, 18세~34세 젊은 여성들의 경우 39%에 불과
• 한편 젊은 여성층이 선호하는 특정 스타일의 매출은 증가: 토트∙쇼퍼백 +11%; 힙색∙웨이스트백 +56%, 백팩 +7%; 또한 젊은 층은 핸드백 구매 시 주로 전문점∙직영점에서 구매
7. 하입비스트 2023 회계연도 매출 +7.2% 신장, 순익은 적자 전환
• 홍콩 스트릿웨어 미디어 및 이커머스 기업 하입비스트 2023 회계연도(3월 31일 마감) 매출 9억6천만 홍콩달러(약 1592억원), +7.2%; 당기순손실 510만 홍콩달러(약 8억 5000만원)
• 기업인수목적회사(SPAC)인 Iron Spark I와의 합병 실패, NFT 시장 약세, 마케팅 비용 급증 등이 순손실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
8. 틱톡, 미국·유럽 '제재' 피해 동남아로…"인니에 100억달러 투자"
•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가 동남아시아 시장에 눈을 돌리는 상황; 틱톡 CEO 쇼우 지 츄가 인도네시아에 향후 5년간 100억달러(약 13조원)를 투자하겠다고 밝힘
• 2년 내 IPO를 준비하며 리스크를 줄이고 회사 가치를 높여야 하는 가운데, 미국∙유럽∙인도 등에서 제재 대상에 오르자 동남아시아의 인구 7억명 쪽으로 우회한 것으로 풀이
9. 디올의 스파 크루즈, 다음달부터 센 강에서 운영 시작
• 디올의 스파 크루즈가 7월 3일 센 강에서 운영을 시작할 예정; 트리트먼트 크루즈(바디 마사지 등 스파 포함)와 웰니스 크루즈(필라테스 등 활동 포함)로 나누어 진행하며 한 회에 2시간 운영
10. 에르메스, '메타버킨스' NFT 판매 영구 금지 승소
• 미 법원이 아티스트 메이슨 로스차일드의 '메타 버킨’ NFT 판매를 영구 금지해달라는 에르메스의 요청을 승인; “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고 회사에 피해를 줄 수 있다”는 설명
• 에르메스는 ‘메타버킨’ NFT를 만든 로스차일드를 상대로 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하여 지난 2월 승소; 이후 로스차일드가 계속해서 NFT를 판매하자 영구 판매 중단을 요구해옴
• 해당 판결은 법적 규제가 부재해온 NFT의 경계를 제시한 사례로, 웹3 내의 상표권에 대한 법적 규제와 NFT와 관련하여 예술가들의 표현 가능한 범위를 제시했다는 분석
출처: https://bit.ly/431V9li , https://bit.ly/44l8qXf
11. 미국 대법원, 나이키와 아디다스 분쟁서 나이키 상소 심리 거부
• 미국 대법원이 나이키의 상소 심리를 거부함; 나이키가 자사 신발 특허권의 일부를 취소하는 미국 특허청 재판소의 결정에 이의를 제기하려 했다는 설명
• 나이키는 아디다스에 스니커즈의 니트 어퍼 관련 특허권 침해 소송을 제기한 바 있음; 2번의 상소 후 지난해 3번째 상소가 거부됐으며, 3월 나이키가 대법원에 소장을 제출
• 둘의 분쟁은 2021년 나이키가 아디다스에 “Flyknit” 신발 어퍼 기술 특허권 소송을 제기하며 시작; 아디다스는 지난 6월 나이키에 피트니스 기술 특허권 소송을 제기; 두 분쟁 모두 지난해 마무리됨
12. 티파니의 탄소 중립 목표, 명품 주얼리 최초로 공식 승인
• 티파니의 탄소 중립 목표가 공식 승인되었다고 발표; 티파니는 2022년 파리 협약의 목표보다 10년 앞선 204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로드맵을 구축
• 티파니는 지난해 직간접 공급망에서 온실가스 배출량 33% 감축 달성; 티파니의 지속가능성 계획은 재생 에너지, 그린 빌딩 자격 등 관련 항목 전반에 대한 투자를 포함; 현재 티파니는 전세계적으로 전기의 91%를 재생가능 자원에서 공급
13. 카사블랑카, Frederick Lukoff 새로운 CEO로 임명
• 카사블랑카(Casablanca)가 Frederick Lukoff를 새로운 CEO로 임명; 창립자이자 CD Charaf Tajer와 함께 일하게 될 예정
• Frederick Lukoff: 최근 Scotch & Soda를 이끌었으며, 이전에는 스텔라 맥카트니의 회장이자 CEO로 약 10년 간 근무; 과거 랑방, 파코 라반, 꾸레쥬에서 근무한 바 있음
• 한편 카사블랑카는 신설 기업 Casablanca Paris Ltd에 인수됨; 추후 사업 성장을 위한 조직 개편 과정의 일환이라는 설명
출처: https://bit.ly/3Ju75oX , https://bit.ly/42WbsQI
14. 해리 스타일스의 브랜드 Pleasing, 첫 CEO Shaun Kearney 영입
• 해리 스타일스가 자신의 뷰티∙라이프스타일 브랜드 플리징(Pleasing)을 이끌 첫번째 CEO로 Shaun Kearney를 영입
• Shaun Kearney: 최근 Goop(기네스 펠트로의 라이프스타일 브랜드)에서 최고 디자인∙머천다이징 책임자 겸 패션 부문 수석 부사장으로 근무
• Shaun은 플리징의 제품 다양화와 전략적 파트너십 추진에 집중할 예정; 플리징은 해리스타일스가 2021년 설립한 브랜드로, 공동 CD Harry Lambert와 Molly Hawkins가 지휘 중
15. 사우디아라비아, 자국 패션 산업 키운다
• 사우디 패션 산업이 다른 대규모 고소득 시장 중 가장 큰 성장률 전망; 추후 10년 간 자국 내 상품 개발∙생산에 주력하여 완전한 패션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계획
• 현재 사우디의 패션 제품 연 수입 규모는 $7 billion(약 9조원) 이상으로, 이 중 20%만 가져와도 추가적으로 지역 내 제조업 매출 $1.3 billion(약 1.6조원) 창출 가능하다는 설명
• 이는 석유 외에 경제를 다각화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계획 Vision 2030의 일환; 2025년 사우디 지역 내 생산한 패션이 RTW 패션 시장의 최대 30%를 차지할 전망
• 2021년~2025년 사우디 소매 패션 매출은 연 성장률 13% 기록 예상; 한편 사우디는 10월 20일~23일 수도 리야드에서 첫 번째 패션 위크를 개최할 예정
출처: https://bit.ly/3pgJ26p , https://bit.ly/4313nu0
'데일리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데일리뉴스] 2023년 8월 21일 월요일 종합뉴스 (3) | 2023.08.24 |
---|---|
[데일리뉴스] 2023년 8월 17일 목요일 종합뉴스 (2) | 2023.08.18 |
[데일리뉴스] 2023년 6월 29일 목요일 종합뉴스 (0) | 2023.06.29 |
[데일리뉴스] 2023년 6월 27일 화요일 종합뉴스 (1) | 2023.06.29 |
[데일리뉴스] 2023년 6월 26일 월요일 데일리뉴스 (0) | 2023.06.27 |